양중장비의 분류 및 특징
양중장비의 분류 및 특징
(1) 분류
1) 자재양중
① 고정식
◈ 타워크레인 : T형 크레인, 러핑크레인(Luffing Crane), 미니 타워 크레인(Mini Tower Crane)
◈ 지브크레인(Jib Crane) : ELP 크레인
※ 대형 : 러핑크레인(8Ton 이상), 소형 : 지브(ELP)크레인
② 이동식
◈ 트럭 크레인[Truck Crane(바퀴:타이어)]
◈ 크롤러 크레인(Crawler Crane) - 링거 크레인[Ringer Crane(바퀴:체인)]
◈ 휠 크레인(Wheel Crane) - 하이드로 크레인[Hydro Crane(바퀴:타이어)]
◈ 카고우 크레인[Cargo Crane(바퀴:타이어)]
※ Boom(붐)형태기준 : 앵글 크레인(Angle Crane) - 트럭크레인/크롤러크레인
③ 기타
◈ 가이 데릭(Guy Derrick)
◈ 윈치(Winch)
◈ 체인 블록(Chain Block)
|
◈ 호이스트
2) 인원양중
① 저속 호이스트 카(리프트)
② 고속 호이스트 카(리프트)
③ 장스팬 리프트(Long Span Lift)
3) 콘크리트 양중
CPB(Concrete Placing Boom)
(2) 종류별 특징
1) T형 크레인
① 종류가 다양하며 대부분의 현장에 적용
② 작업반경 내에 장애물이 없을 때 사용
③ 작업능률이 좋고 공기단축에 효과적임.
④ 지브가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음.
⑤ 대형 장비(20Ton)는 국내 보유대수가 많지 않아 가동현황 파악이 필요
⑥ 자립높이(50~90m이상)이상이 되면 월타이(Wall Tie)또는 인장 와이어로 보강
⑦ 기초분리의 수직이동 방식은 마스트에 걸리는 축력 및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체
보강이 필요.
※ 자립높이 : 장비 제원표 확인
2) 러핑 크레인
① 작업능률이 좋고 공기단축에 효과적임.
② 상하기복(Luffing)형으로 장애물이 있을 때 효과적임.
③ 지브의 회전반경으로 발생하는 지상권 침해의 민원 예방.
④ 도심지의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 용이
⑤ 국내 보유대수가 많지 않아 장비 가동현황 파악이 필요함.
⑥ T형에 비해 고가(희소가치)
⑦ 초고층 건물에서 많이 사용함.
⑧ 자립높이(50m 이상)이상이 되면 월타이 또는 인장 와이어로 보강.
⑨ 기초 수직이동식은 기초에 걸리는 축력 및 모멘트가 크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체 보강 필요.
※ 도심지 권장 크레인
3) 지브 크레인
① 최대 양중 능력이 8ton 미만인 소형 구조물에 사용
② 지브의 길이가 20~40m 이내
③ 타워크레인 해체장비로도 사용
4)트럭 크레인
① 이동부분은 휠 크레인이고, 붐은 크롤러 크레인처럼 앵글식으로 되어 있음.
② 소형은 트럭 부착형이고, 대형은 지브와 트럭을 분리이동하여 조립
③ 양중능력이 25~550Ton 까지 다양
5) 크롤러 크레인
① 바닥이 고르지 못한 지반에서도 작업이 가능
② 인양물을 들고 이동 가능
③ 작업 준비기간이 길며 협소한 공간에서의 작업 불리
④ 이동식 중형 양중장비로서 휠 크레인으로 양중할 수 없을 때 사용
⑤ 양중능력이 Ringer(바닥고정) 설치 시 1300ton까지 양중 가능
⑥ 붐의 길이가 100m인 장비도 있음.
⑦ 250톤 이상 대형장비는 사용 시 최소 1-6개월 이전에 가동파악 요망
6) 휠 크레인(하이드로)
① 가장 보편적인 장비로 하이드로 크레인이 이에 해당됨.
② 양중능력이 25-550ton까지 다양
③ 붐을 축소시킬 수 있고 작업반경을 길게 하기 위해 보조 지브를 설치할 수 있음.
④ 대용량 장비는 사전검토 요망.
7) 카고 크레인
① 소형장비로 카고트럭에 탑재된 크레인
② 본체인 카고에 양중하는 크레인
8) 장스팬 리프트
① 중소형 자재 양중장비로 타워 크레인 보조장비 효과
② 자재양중 및 승용 겸용 가능
9) 고속 호이스트
① 초고층용 고속(90-100m/분) 장비로서 2.7ton까지 양중 가능
② 월 임대료가 저속보다 15-20배 정도 고가(2001년 기준)
③ 마스트 높이는 250m 정도
④ 국내에 보유대수가 많지 않아 장비기동 현황 파악 필요
※ 리프트카
10) 저속 호이스트
① 저속용(40m/분) 장비로서 국내 인화물용 장비로 가장 널리 사용
② 임대료가 경제적임.
③ 자력으로 크라이밍 가능
※ 리프트카
11) CPB(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① 초고층용 콘크리트 타설에 적합
② 펌프카의 붐을 분리하여 층고에 관계없이 클라이밍하면서 콘크리트 타설
③ 콘크리트 펌프로 압송 후 CPB를 이용하여 타설
텔리스코핑 및 클라이밍
◈ 텔리스코핑(Telescoping)
기초고정식 크레인을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마스트 외부에 케이싱을 설치하고(마스
트 상부가 유리함 - 유압실린더로 밀어 올리는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음) 케이싱 내부의 마스트 Pin을
제거한다. 유압잭으로 1단 마스트 높이만큼 밀어 올린 다음, 본체 크레인으로 추가 마스트를 인입하여
핀 고정하면 상승 완료 됨.
☞ 작업 중 주의사항
① 텔레스코핑은 풍속 4.5km/h 이상일 경우 작업 중지
② 연결부분의 연결작업 시 T/C의 회전과 주행구동 금지
③ 자립고 이상 또는 작업 최상층과 크레인 지브 간격이 10m 이내 일때 텔레스코핑 시작
④ 공정 주기가 빠를수록 클라이밍을 자주 해야 하므로 철저한 공정 계획이 필요하다.
⑤ 1회 텔레스코핑 시 마스트 3-5개를 작업하며, 작업시간은 7.5시간 이내임
☞ 월 브레이싱(Wall Bracing)
① 자립높이 이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좌굴에 대항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함.
② 건물 높이에 따라 사전에 위치 결정
③ 월 브레이싱 방법
* 인접건물을 이용한 지지
*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지지
* 슬래브 내부에서 지지
* 브래킷 월 브레이싱을 이용한 지지
◈ 클라이밍
기초 분리식 트레인을 상승시키는 방법으로, 마스트가 설치된 위치의 구조체에 Collar를 일정간격으로
3개소 설치한다. 마스트를 기초와 분리하고 유압잭으로 마스트를 상승시킨 다음, Collar로 마스트를 지
지하는 방법(Collar 설치 위치에 구조보강 필요)
☞ 작업 중 주의사항
① 자립고 이상 또는 작업 최상층과 크레인 지브간격이 10m 이내일 때 클라이밍 시작
② Collar(마스트를 잡아주는 철재 띠) 설치 - 3개소 설치
③ 크레인을 지지할 수 있는 건물의 구조가 되도록 구조검토
④ 클라이밍 후 하단에 분리된 Collar는 해체하여 다음에 클라이밍할 위치에 이동해 설치
⑤ 공정 주기가 빠를수록 클라이밍을 자주 해야 하므로 공정계획을 철저히 함.
⑥ 1회 클라이밍 시 철골 1절(3-4층)을 작업하며, 작업시간은 2일이 소요되나 1일은 Collar를 양중
(양중작업 가능)하고 1일은 클라이밍(양중작업 중지)작업 실시
◈ 클라이밍 방법
구분 |
클라이밍 방법 |
시간 |
적용 |
구조체 보강 |
마감 작업성 |
안전성 | |
기초고정식 |
마스트 이음 |
1. 중간 서포트 부착 2. 마스트 이음 3. 선회체 상승 |
2일 |
중고층 건물에 적합 |
자립높이 이상되면 월타이로 보강 |
마스트설치 부분에 마감이 누락됨 : 해체 후 마감 작업
|
기초자립 : 안전함 |
텔레 스코핑 |
1. 외부 마스트 설치 2. 잭으로 선회체 상승 3. 내부 마스트 삽입 |
2일 |
안전함 | ||||
기초이동식 |
전체 이동 |
1. 중간 월 타이 상승 2. 중간 월 타이 보강 3. 잭으로 크레인 전체 상승 4. 상승된 기초보강 |
2일 |
초고층 건물에 적합 |
기초(Collar) 부위에 월 타이 보강 |
코어 내부를 사용하면 마감에 관계없이 공정 진행 가능 |
클라이밍 시 주의 : 불안전 |
마스트 분할 |
1. 중간 월 타이 상승 2. 중간 월 타이 보강 3. 마스트 상승 4. 선회체 상승 |
2일 |
초고층 건물에 적합 |
전체 클라이밍에 비해 약하게 보강 |
클라이밍 시 주의 : 불안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