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도립공원[道立公園] ▣
도립공원(provincial park) (면적단위 ; ㎢)
번호 | 공원명 | 지정년월일 | 전체면적 | 산높이 | 위 치 (시ㆍ도별) |
제1호 | 금오산 | 1970.06.01 | 37.29 | 977m | 경북(구미 칠곡 김천) |
제2호 | 남한산성 | 1971.03.17 | 36.447 |
| 경기(광주 하남 성남) |
제3호 | 모악산 | 1971.12.02 | 45.567 | 793m | 전북(김제 완주 전주) |
제4호 | 덕 산 | 1973.03.06 | 21.024 |
| 충남(예산 서산) |
제5호 | 칠갑산 | 1973.03.06 | 32.976 | 561m | 충남(청양) |
제6호 | 대둔산 | 1977.03.23 | 38.10 | 878m | 전북(완주) |
제6-1 | 대둔산 | 1980.05.22 | 24.77 | 878m | 충남(논산 금산) |
제7호 | 낙 산 | 1979.06.22 | 8.659 | 강원(양양) 2016년 12월 20일해제 | |
제8호 | 마이산 | 1979.10.16 | 17.221 | 673m | 전북(진안) |
제9호 | 가지산 | 1979.11.05 | 105.069 | 1240m | 울산 경남(경산 밀양) |
제10호 | 조계산 | 1979.12.26 | 27.38 | 884m | 전남(순천) |
제11호 | 두륜산 | 1979.12.26 | 33.39 | 703m | 전남(해남) |
제12호 | 선운산 | 1979.12.27 | 43.07 | 336m | 전북(고창) |
제13호 | 팔공산 | 1980.05.13 | 125.668 | 1193m | 대구 경북(칠곡 군위 경산 영천) |
제14호 | 문경새재 | 1981.06.04 | 5.494 | 경북(문경) | |
제15호 | 경 포 | 1982.06.26 | 9.475 | 강원(강릉) | |
제16호 | 청량산 | 1982.08.21 | 49.47 | 870m | 경북(봉화 안동) |
제17호 | 연화산 | 1983.09.29 | 22.26 | 552m | 경남(고성) |
제18호 | 태백산 | 1989.05.13 | 17.44 | 1566m | 강원(태백) 2016년 4월 15일 국립공원승격 |
제19호 | 팔영산 | 1998.08.04 | 9.881 | 609m | 전남(고흥) |
제20호 | 천관산 | 1998.10.13 | 7.606 | 723m | 전남(장흥) |
제21호 | 연인산 | 2005.09.12 | 37.445 | 1068m | 경기(가평) |
제22호 | 신안증도갯벌 | 2008.06.05 | 12.824 |
| 전남(신안) |
제23호 | 무안갯벌 | 2008.06.05 | 37.123 |
| 전남(무안) |
제24호 | 제주조각 | 2008.09.19 | 0.37 |
| 제주 남제주군 안덕면 |
제25호 | 마라해양 | 2008.09.19 | 49.755 |
| 남제주군 대정읍 안덕면 |
제26호 | 성산일출해양 | 2008.09.19 | 16.156 |
| 제주 남제주군 성산읍 |
제27호 | 서귀포 시립해양 | 2008.09.19 | 19.54 |
| 서귀포시 보목~강정동 |
제28호 | 추 자 | 2008.09.19 | 95.292 |
| 제주 북제주군 추자면 |
제29호 | 우도해양 | 2008.09.19 | 25.863 |
| 제주 부제주군 우도면 |
제30호 | 수리산 | 2009.07.16 | 6.606 | 475m | 경기(안양 안산 군포) |
비탐방 2019년 1월 15일 현재 * 참고 : 제주특별자치도 시행으로 군립공원 6개소가 도립공원으로 승격됨.
|
◆ 경기도 (3곳)
남한산성 연인산 수리산
◆ 강원도 (1곳)
경포
◆ 충청남도 (3곳)
덕산 칠갑산 대둔산
◆ 전라북도 (4곳)
모악산 대둔산 마이산 선운산
◆ 전라남도 (6곳)
조계산 두륜산 팔영산 천관산 신안증도갯벌 무안갯벌
◆ 경상북도 (4곳)
금오산 팔공산 문경새재 청량산
◆ 경상남도 (2곳)
가지산 연화산
◆ 제주도 (6곳)
제주조각 마라해양 성산일출해양 서귀포시립해양 추자 우도해양
◉ 도립공원 (道立公園)
도립공원은 국립공원에 준하는 자연풍경을 보호하고 이용할 목적으로 자연공원법에 따라 지정한 자연공원이다. 또한 도립공원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받는 경우가 있다.
특별시장·광역시장 또는 도지사가 지정한다. 해당 지역의 자연을 도립공원으로 지정하려면 도립공원위원회와 국토건설종합계획법 제13조의 규정에 따라 도건설종합계획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이 경우 환경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과 협의를 거친다. 도립공원 계획은 도지사가 결정한다.
도립공원의 관리는 시·도가 맡아한다. 관리·운영 방식은 국립공원에 준하고 특별보호지구·해중공원지구·특별지역 내에서의 행위는 도지사의 허가나 인가가 필요하다.
[히치하이킹(hitchhiking)]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도립공원[ 道立公園 ]
◆ 정의 ; 특별시나 광역시, 그리고 도내에서 국립공원 이외 경치가 아름다워 그 도를 대표할 만한 곳을 선정하여 특별히 지정한 자연 경승지.
◆ 내용 : 서울특별시장·광역시장 및 도지사가 도건설종합계획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하게 되어 있으며, 반드시 건설교통부장관의 승인을 얻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지사는 공원의 효율을 도모하기 위하여 공원 계획을 세우며, 국립공원과 마찬가지로 자연보존 지구·자연환경 지구·농어촌 지구·집단시설 지구로 구분하여 수립하여야 한다. 도립공원으로 지정될 구역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거나, 혹은 군립공원으로 지정된 구역이 도립공원으로 지정되면 소단위 지역의 공원은 그 효력을 상실한다.
1970년 6월 1일 금오산이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98년 현재 경포도립공원을 비롯하여 전국에 30개의 도립공원이 있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먼저 지정된 금오산도립공원은 산의 정상에 왜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축성한 2㎞의 산성을 비롯해, 산록에는 고려 말엽 길재(吉再)를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채미정(採薇亭)이 있다.
그리고 명금폭포(鳴金瀑布)·약사암(藥師庵)·도선굴(道詵窟) 등 많은 관광자원이 있다. 남한산성은 산성으로서는 유일한 도립공원으로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으며, 백제·신라·조선의 3조에 걸친 옛 조상들의 생활 풍습과 국가 방위의 정신을 엿볼 수 있는 고귀한 사적자원이기도 하다.
이 산성은 2,000여 년 전에 고구려 동명왕의 셋째 아들 온조(溫祚)가 처음 쌓았는데, 조선 정조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증축과 개축을 하였다. 성의 길이는 4.5㎞, 높이 7.3m나 되며, 주요 지점 4개소에 장대(將臺)를 설치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서장대(西將臺)만이 남아 있다. 특히, 이 성은 서울에서 동남쪽 26㎞ 지점에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피서객과 등산객이 많다.
한편, 자연 관광자원의 명소라고 볼 수 있는 강원도에는 낙산·경포 등 3개의 도립공원이 있는데, 경포와 낙산도립공원은 우리 나라의 1급 산악 관광지인 설악산을 끼고 있어, 접근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자연의 경치도 매우 아름답다. 또, 671년(문무왕 11)에 창건한 낙산사(洛山寺)는 해안에 있는데 자연과 인문의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곳이어서 더욱 아름답다.
강릉시 중심지에서 동북쪽 4㎞ 지점에는 1326년(충숙왕 13) 박숙(朴淑)이 창건하고 1508년(중종 3) 한급(韓汲)이 옮겨 지은 경포대가 있는데, 이곳은 주변의 해수욕장을 비롯한 자연환경과 잘 조화되어 그 경치가 뛰어나며 관동팔경의 제일경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1989년 태백시의 태백산도립공원이 지정되었다.
온천 관광지로 이름 있는 충청남도에는 덕산·칠갑산·대둔산 등 3개의 도립공원이 있다. 그 가운데 덕산은 차령산맥의 말단에 생긴 잔구성산지로 덕산온천을 비롯한 수덕사(修德寺)와 연포·만리포·몽산포 등의 해수욕장이 가까이 있다. 특히, 수덕사의 대웅전은 국보 제47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영주 부석사(浮石寺)의 무량수전과 더불어 우리 나라에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이기도 하다.
한편,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에 있는 대둔산은 전라북도에서는 1977년 3월에, 충청남도에서는 1980년 5월에 각각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 산은 오랜 침식으로 인하여 기암괴석과 절벽이 많아 그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 특히, 임금바위와 입석대(立石臺)를 잇는 금강구름다리 부근의 경관은 장관이다.
대둔산의 산록에는 태고사(太古寺)·안심사(安心寺)·신고운사(新孤雲寺) 등의 명찰이 많았으나 6·25사변 때 모두 전소되었다. 전라북도에는 대둔산 이외 마이산·모악산·선운산 등의 도립공원이 있는데, 노령산맥의 중부 진안고원상에 발달한 마이산은 동봉(東峯, 667m)과 서봉(西峯, 673m)으로 되어 있으며, 산 전체가 백악기(白堊紀)에 분출된 화강반암이 침식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또한 이곳은 북쪽의 금강과 남쪽의 섬진강의 수원을 이루기도 한다. 이 산은 서다산(西多山)·용출산(龍出山)·속금산(束金山) 등으로 불려오다가 조선 태종이 이 지방을 순행하던 중, 이 산을 보고 말의 귀[耳]같이 생겼다고 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산에는 약 100년 전에 이갑룡(李甲龍)이라는 사람이 전국의 유명한 산으로부터 10여 년간 돌을 모아 쌓았다는 마이산탑이 있는데 이것은 이채로워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 또, 전주에서 서남쪽 12㎞ 지점에 있는 모악산의 산록에 있는 금산사에는 국보 제62호인 미륵전을 비롯하여 많은 보물이 있다. 호남의 내금강으로 불리는 선운산은 도솔산이라고도 하는데, 고찰 선운사가 있으며, 선운사 동백나무숲은 꽃이 피면 장관을 이룬다.
한편, 전라남도와 광주에는 수박으로 유명한 무등산을 비롯하여 조계산·두륜산 등의 도립공원이 있다. 무등산은 예로부터 광주 시민의 진산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산록에는 아고산대식물(亞高山帶植物)이 700여 종이나 있어서 이 지역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곳에는 특히 무등산차가 유명하다. 한편 무등산은 2012. 12. 27일자로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조계산은 자연미가 수려하여 4계절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기후가 온화하여 소금강이라는 애칭을 받고 있다. 조계산에는 송광사와 선암사가 있는데, 이 사찰은 ‘불(佛)에는 통도사, 법(法)에는 해인사, 승(僧)에는 송광사’라는 말 그대로 16국사(國師)를 배출한 곳이어서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
두륜산은 해남읍에서 약 12㎞ 남쪽에 있는 명산으로 기암절벽이 많다. 이 산의 북서쪽 산록에는 대흥사(大興寺)가 있는데, 신라 진흥왕 때 창건한 우리 나라의 대표적 사찰로서 휴정(休靜)과 그의 제자 유정(惟政), 뇌묵(雷默)을 비롯한 고승들의 유품이 보관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1998년에는 고흥군의 팔영산과 장흥군의 천관산이 각각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신안증도갯벌과 무안갯벌이 2008.6.5.일자로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경상북도에는 금오산을 비롯하여 팔공산·문경새재·청량산 등 4개소의 도립공원이 있다. 문경새재 조령관문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간의 낮은 고개에 쌓은 산성으로, 이는 영남과 기호 지방에서 서울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다.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이 관문은 1708년(숙종 34)에 관문과 성벽을 축성한 것이다.
영남 지방으로부터 ‘영남제1관문(嶺南第一關門)’이라는 현판이 붙은 관문을 지나 3㎞쯤 가면 제2관문인 조곡관(鳥谷關)이 있고, 또 3.5㎞ 더 가면 제3관문인 조령관(鳥嶺關)이 있다. 대구광역시로부터 북동쪽 20㎞ 지점에 있는 팔공산은 계곡이 아름다워서 대구 시민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팔공산의 동쪽에는 은해사(銀海寺), 남쪽에는 동화사(桐華寺), 서쪽에는 파계사(把溪寺), 북쪽에는 대율사지(大栗寺址)의 제이석굴암(第二石窟庵) 등 많은 문화재가 있어, 1980년 5월 13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한편, 경상남도에서는 밀양시와 경상북도의 청도군 사이에 있는 가지산(加智山, 1,240m) 일대를 1979년 11월 5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하였다. 고성군에 있는 연화산도립공원은 1983년에 지정된 공원이다. 워낙 교통이 불편하여 고성 지방 사람들 외에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옥천사 주변은 울창한 송림이 우거져 있고 산중턱으로 올라가면 큰 대밭이 펼쳐지는 등 경관이 빼어난 산이다. 무엇보다 한려수도 일대의 관광을 겸할 수 있어 좋고, 남국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조각, 마라해양, 성산일출해양, 서귀포시립해양, 추자, 우도해양 등 6곳이 군립공원에서 2008.9.19.일자로 도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펌> 영주녹색산악회
도립 ‧ 군립공원 지정 현황
순번 | 도립공원 | 군립공원 | ||||
구분 | 공원명 | 위치 | 지정일자 | 공원명 | 위치 | 지정일자 |
계 | 29개소 | 27개소 | ||||
1 | 금오산 | 경북 구미‧칠곡‧김천 | ’70.6.1 | 강천산 | 전북 순창 | ’81.1.7 |
2 | 남한산성 | 경기 광주‧하남‧성남 | ’71.3.17 | 천마산 | 경기 남양주 | ’83.8.29 |
3 | 모악산 | 전북 김재‧완주‧전주 | ’71.12.2 | 보경사 | 경북 포항 | ’83.10.1 |
4 | 덕산 | 충남 예산‧서산 | ’73.3.6 | 불영계곡 | 경북 울진 | ’83.10.5 |
5 | 칠갑산 | 충남 청양 | ’73.3.6 | 덕구온천 | 경북 울진 | ’83.10.5 |
6 | 대둔산 | 전북 완주 충남 논산‧금산 | ’77.3.23 | 상족암 | 경남 고성 | ’83.11.10 |
7 | 마이산 | 전북 진안 | ’79.10.16 | 호구산 | 경남 남해 | ’83.11.12 |
8 | 가지산 | 울산, 경남 양산‧밀양 | ’79.11.5 | 고소성 | 경남 하동 | ’83.11.14 |
9 | 조계산 | 전남 순천 | ’79.12.26 | 봉명산 | 경남 사천 | ’83.11.14 |
10 | 두륜산 | 전남 해남 | ’79.12.26 | 거열산성 | 경남 거창 | ’83.11.17 |
11 | 선운산 | 전북 고창 | ’79.12.27 | 기백산 | 경남 함양 | ’83.11.18 |
12 | 팔공산 | 대구 , 경북 칠곡‧ 군위‧경산‧영천 | ’80.5.13 | 황매산 | 경남 합천 | ’83.11.18 |
13 | 문경새재 | 경북 문경 | ’81.6.4 | 웅석봉 | 경남 산청 | ’83.11.23 |
14 | 경포 | 강원 강릉 | ’82.6.26 | 신불산 | 울산 울주 | ’83.12.2 |
15 | 청량산 | 경북 봉화‧안동 | ’82.8.21 | 운문산 | 경북 청도 | ’83.12.29 |
16 | 연화산 | 경남 고성 | ’83.9.29 | 화왕산 | 경남 창녕 | ’84.1.11 |
17 | 고복저수지 | 세종 | ’13.1.7 | 구천계곡 | 경남 거제 | ’84.2.4 |
18 | 천관산 | 전남 장흥 | ’98.10.13 | 입곡 | 경남 함안 | ’85.1.28 |
19 | 연인산 | 경기 가평 | ‘05.9.15 | 비슬산 | 대구 달성 | ’86.2.22 |
20 | 신안갯벌 | 전남 신안 | ‘13.12.31 | 장안산 | 전북 장수 | ’86.8.18 |
21 | 무안갯벌 | 전남 무안 | ‘08.6.5 | 빙계계곡 | 경북 의성 | ’87.9.25 |
22 | 마라해양 | 제주 서귀포 | ‘08.9.19 | 아미산 | 강원 인제 | ’90.2.23 |
23 | 성산일출해양 | 제주 서귀포 | ‘08.9.19 | 명지산 | 경기 가평 | ’91.10.9 |
24 | 서귀포해양 | 제주 서귀포 | ‘08.9.19 | 방어산 | 경남 진주 | ’93.12.16 |
25 | 추자해양 | 제주 제주 | ‘08.9.19 | 대이리 | 강원 삼척 | ’96.10.25 |
26 | 우도해양 | 제주 제주 | ‘08.9.19 | 월성계곡 | 경남 거창 | ‘02.4.25 |
27 | 수리산 | 경기 안양‧안산‧군포 | ’09.7.16 | 병방산 | 강원 정선 | ‘11.9.30 |
28 | 제주곶자왈 | 제주 서귀포 | ’11.12.30 | [출처] 도립,군립공원 지정현황|작성자 사랑희라 |
'♠ 산 > 100대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100대명산(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산 149산)등반기록 (0) | 2019.03.28 |
---|---|
산림청 선정 숨겨진 우리산 250 (0) | 2019.02.19 |
월간 산 100대명산 (0) | 2018.12.06 |
한국 100대 명산 목록(2018년 6월 28일자) (0) | 2018.11.08 |
블야 섬&산 인증장소 (0) | 201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