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경찰법
[시행 2010.7.1] [법률 제10013호, 2010.2.4, 일부개정] 공포법령보기
경찰청(경비과), 02-3150-2657
제1조(목적) 이 법은 청원경찰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및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청원경찰의 (_________________________)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청원경찰"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의 장 또는 시설·사업장 등의 경영자가 경비{이하 "청원경찰경비"(請願警察經費)라 한다}를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경찰의 배치를 신청하는 경우 그 기관·시설 또는 사업장 등의 경비(警備)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배치하는 경찰을 말한다.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그 밖에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하는 중요 시설, 사업장 또는 장소
[전문개정 2010.2.4]
제3조(청원경찰의 직무) 청원경찰은 제4조제2항에 따라 청원경찰의 배치 결정을 받은 자{이하 "청원주"(請願主)라 한다}와 배치된 기관·시설 또는 사업장 등의 구역을 관할하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감독을 받아 그 경비구역만의 경비를 목적으로 필요한 범위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4조(청원경찰의 배치) ① 청원경찰을 배치받으려는 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_________________________)에게 청원경찰 배치를 신청하여야 한다.
② (_________________________)은 제1항의 청원경찰 배치 신청을 받으면 지체 없이 그 배치 여부를 결정하여 신청인에게 알려야 한다.
③(_________________________)은 청원경찰 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기관의 장 또는 시설·사업장의 경영자에게 청원경찰을 배치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0.2.4]
제5조(청원경찰의 임용 등) ① 청원경찰은 청원주가 임용하되, 임용을 할 때에는 미리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 호의 어느 하나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사람은 청원경찰로 임용될 수 없다.
③ 청원경찰의 임용자격·임용방법·교육 및 보수에 관하여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한다.
④ 청원경찰의 복무에 관하여는 「국가공무원법」 제57조, 제58조제1항, 제60조, 제66조제1항 및 「경찰공무원법」 제18조를 준용한다.
[전문개정 2010.2.4]
조문체계도버튼 제5조의2(청원경찰의 징계) ① 청원주는 청원경찰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하는 징계절차를 거쳐 징계처분을 하여야 한다.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② 청원경찰에 대한 징계의 종류는 (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 및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구분한다.
③ 청원경찰의 징계에 관하여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0.2.4]
제6조(청원경찰경비) ① (_________________________)는 다음 각 호의 청원경찰경비를 부담하여야 한다.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②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청원경찰의 보수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같은 재직기간에 해당하는 경찰공무원의 보수를 감안하여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한다.
1. 재직기간 (_________________________) 미만: (_________________________)
2.재직기간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상 (_________________________) 미만: (_________________________)
3. 재직기간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상: (_________________________)
③ 청원주의 제1항제1호에 따른 봉급·수당의 최저부담기준액(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청원경찰의 봉급·수당은 제외한다)과 같은 항 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비용의 부담기준액은 (_________________________)이 정하여 고시(告示)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7조(보상금) 청원주는 청원경찰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게 되면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청원경찰 본인 또는 그 유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1.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인하여 (_________________________)을 입거나,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걸리거나 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한 경우
2.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부상·질병으로 인하여 퇴직하거나, 퇴직 후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내에 사망한 경우
[전문개정 2010.2.4]
제7조의2(퇴직금) 청원주는 청원경찰이 퇴직할 때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따른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청원경찰의 퇴직금에 관하여는 따로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8조(제복 착용과 무기 휴대) ① 청원경찰은 근무 중 제복을 착용하여야 한다.
② (_________________________)은 청원경찰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청원주의 신청을 받아 관할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하여금 청원경찰에게 무기를 대여하여 지니게 할 수 있다.
③ 청원경찰의 복제(服制)와 무기 휴대에 필요한 사항은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9조 삭제 <1999.3.31>
제9조의2 삭제 <2001.4.7>
제9조의3(감독) ① 청원주는 항상 소속 청원경찰의 근무 상황을 감독하고, 근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하여야 한다.
② (_________________________)은 청원경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청원주를 지도하며 감독상 필요한 명령을 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직권남용 금지 등) ① 청원경찰이 직무를 수행할 때 직권을 남용하여 국민에게 해를 끼친 경우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이나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처한다.
② 청원경찰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은 「(_________________________)」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른 (_________________________)을 적용할 때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본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의2(청원경찰의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책임) 청원경찰(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청원경찰은 제외한다)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책임에 관하여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규정을 따른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의3(권한의 위임) 이 법에 따른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권한은 그 일부를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 (_________________________)에게 위임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의4(의사에 반한 면직) ① 청원경찰은 (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____________________) 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_________________________)하지 못할 때를 제외하고는 그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반하여 (_________________________)되지 아니한다.
② 청원주가 청원경찰을 (_________________________)시켰을 때에는 그 사실을 관할 (_________________________)을 거쳐 (_________________________)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의5(배치의 폐지 등) ① 청원주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이 (_________________________)되거나 (_________________________)되어 청원경찰의 배치를 (_________________________)하거나 (_________________________)가 있다고 인정하면 청원경찰의 배치를 (_________________________)하거나 (_________________________)할 수 있다. 다만, 청원주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따른 (_________________________)을 배치할 목적으로 청원경찰 배치를 (_________________________)하거나 배치인원을 (_________________________)할 수 없다.
② 제1항에 따라 청원주가 청원경찰을 폐지하거나 감축하였을 때에는 청원경찰 배치 결정을 한 경찰관서의 장에게 알려야 하며, 그 사업장이 제4조제3항에 따라 (_________________________)이 청원경찰의 배치를 요청한 사업장일 때에는 그 폐지 또는 감축 사유를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의6(당연 퇴직) 청원경찰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때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된다.
1. 제5조제2항에 따른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해당될 때
2. 제10조의5에 따라 청원경찰의 (_________________________)되었을 때
3. 나이가 (_________________________)세가 되었을 때. 다만, 그 날이 (_________________________)부터 (_________________________) 사이에 있으면 (_________________________)에, (_________________________)부터 (_________________________) 사이에 있으면 (_________________________)일에 각각 (_________________________)된다.
[전문개정 2010.2.4]
제10조의7(휴직 및 명예퇴직) 국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청원경찰의 휴직 및 명예퇴직에 관하여는 「(_________________________)」 제71조부터 제73조까지 및 제74조의2를 (_________________________)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11조(벌칙) 청원경찰로서 제5조제4항에 따라 준용되는 「(_________________________)」 제66조제1항을 위반한 사람은 (_________________________) 또는(_________________________)에 처한다.
[전문개정 2010.2.4]
제12조(과태료)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1. 제4조제2항에 따른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배치 결정을 받지 아니하고 청원경찰을 배치하거나 제5조제1항에 따른 (_________________________)의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청원경찰을 임용한 자
2. 정당한 사유 없이 제6조제3항에 따라 (_________________________)이 고시한 최저부담기준액 이상의 보수를 지급하지 아니한 자
3. 제9조의3제2항에 따른 감독상 필요한 명령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아니한 자
② 제1항에 따른 과태료는 (_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_________________________)이 부과·징수한다.
[전문개정 2010.2.4]
'♠ 일 하 며 공 부 하 자 > 경비지도사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비지도사(일반) 예상커트라인 (0) | 2012.11.21 |
---|---|
대통령등 경호에 관한 법률 빈칸채우기 (0) | 2012.11.21 |
경비업법 빈칸 채우기 (0) | 2012.11.21 |
2012년 제 14회 경비지도사 2차-일반경비지도사 (q-net) 가답안 (0) | 2012.11.19 |
테러리즘 (0) | 201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