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28일
금왕휴게소 소속리산 쉼터
소속리산 등산로 입구
평택제천 고속국도
대형주차장에서 용추로까지의 들머리가 생략되었다.
09시 50분
산악회 버스가 대형주차장에 도착했다.
앞에 보이는 해발 300m가 조금 넘는 둔덕을 넘어가면
용추계곡을 만난다. 거리는 400m
한국의 아름다운 하천으로 선정되었다는 대야산 용추계곡 비석
둔덕을 넘어서며 바라본 모습
이색적인 건물들이 계곡에 자리잡고
포장도로를 만난다.
도로명은 용추로. 계곡을 따라 아랫쪽으로 계속가면 선유동 계곡이다.
이정표에는 대야산까지 4.8km, 용추폭포 700m로 표시된다.
오른쪽으로는 팬션 등 사유지이고,
버스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도 있는데~
조금 더 진행하다 보면 가든시설에서 길을 막고 통제하는 모습도 있다.
사유지라서 그런지 평상이 있고,
아마도 자릿세를 받거나, 음식을 시켜 먹거나 해야겠지~
데크길로 잘 정비된 등로를 따라 오르면
물놀이객들이 분주하다
계곡 건너로도 길이 있다. 임도형태의 길인데,
대야산 자연휴양림으로 구분되는 곳이리라
용소바위라 하여, 용발톱으로 긁힌 자욱이 있다는데~
올라가 확인하기도 그렇고,나무에 가렸으니 그냥 패쓰~
유수량은 좀 줄었겠지만,
그래도 맑은 물이 이 정도 흘러주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가!
36도 넘는 폭염이 계속되는 날씨에 말이다.
폭포 안쪽의 모양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영락없는 하트다
용추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용추 안의 깊이는 1m 정도 되는 듯하고,
통제를 하지 않는 것으로 봐서, 익사할만한 정도는 아니라는 얘기다.
경사가 제법 되는 곳은 출입금지 걸개로 막아놓았고,,,
초소 같은 곳을 통과하고~
쉴만한 넓은 평상도 마련되어 있다.
볕으로 나가면, 엄청난 열기로 숨이 할딱거린다.
맑은 계곡에 발담그고 쉬었다 가면 좋으련만,
산객이 그렇게 여유로울 수는 없으니~
물놀이객들이 쉬는 모습을 보는 것으로 위안 삼는다.
월영대 삼거리 모습이다.
지금 위치는 밀재로 가는 방향, 냇가를 건너기 전 오른쪽으로 가면
피아골로 해서 대야산으로 곧장 오르는 등로다
휘영청 밝은 달이 중천에 뜨는 밤이면,
바위와 계곡을 흐르는 맑디 맑은 물위에 달빛이 아름답게 드리운다 하여 월영대(月影臺)라 이름붙여진
계곡 암반의 모습이다.
월영대 위쪽에서 내려다 본 모습
바위와 나무가 이중으로 기대어 공생하는
희안한 모습도 관찰하고~
밀재에 도착한다. [11시50분]
밀재에서 대야산 정상까지는 1km거리지만
지금까지의 등로와는 차별될 것이다.
침목계단이 놓여있고
데크계단도 나타난다.
커다란 바위 조망처가 나오고
남양주 축령산의 남이장군 바위보다 더 정교한 의자(소파)같은
바위의 모습이 신비롭다.
로프가 매여진 가파른 길도 있고
돌길도 존재한다.
암릉의 모습이 서서히 나타나고~
해발 803m 지점을 표시하고~
자세히 보니 코끼리를 닮았구나
대야산 지능선의 암릉이
그 존재만으로도 대단한 위압감을 준다.
정상방향의 모습
멋진 암릉 먼 뒤로 조항산
문바위
멀리서도 대야산임을 구분짓는 중대봉의 웅장함에
경탄을 금치 못한다.
저곳까지 가기에는 시간의 압박이 따를 듯 하고~
왜솜다리?
여기저기 군락을 이루며 피어있다.
정상 전위봉으로 오르는 계단
상당히 가파르다.
이 계단들이 없다면 암벽릿지길이 될 것 같다.
요상스런 형태의 기암과도 마주치고
전위봉에서 바라본 정상부
수려한 경관이다.
정상전위암에서 멋진 경관을 감상하며 30여분 휴식하고
오른쪽 뒤로 희양산이 보였다 사라지기를 거듭하더니
몇 방울 빗줄기에 완전히 그 모습을 감춰버렸다.
이 계단을 오르면 대야산 정상이다.
해발 930.7m
대야산 정상 [13시 45분]
중대봉 방향을 조망하고
정상석에서 기념한다.
빗줄기가 떨어지면서, 몇몇 산객들이 급히 정상을 내려가고~
올라온 능선으로
문바위와 기암들이 늘어서 있다.
피아골로 내려가는 등로에도 잘 만들어진 데크계단의 덕을 톡톡히 본다.
피아골 계곡으로 내려서면서
앗싸 ! 비오리~
소나기 내리치는 하산길이다.
우산을 받쳐들고 내려가는 길인데
신발속에는 물이 가득,,, 철푸덕철푸덕 그 박자 참 야릇하구랴
이렇게 시원한 빗줄기는 30여분 넘게 계속되다가
계곡길을 만나기 전 서서히 그치기 시작한다.
월영대로 돌아왔다.
빗줄기는 많이 약해지고
가랑비 오는 와중에도
물놀이에 여념이 없는 무리가 보인다.
계류는 약간의 흙탕물로 변했다.
용추로에서 다시 산길로 접어들고
주차장으로 되돌아가는 둔덕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용추계곡으로 스며들 때나 떠나올 때나
산야는 언제나 그 당당한 모습으로 화답한다.
'♠ 산 > 경상북도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미산 / 군위 (0) | 2019.04.11 |
---|---|
보현산 / 영천 (0) | 2019.04.11 |
푸르름으로 단장하고 속리산이 한눈에 조망되는 청화산 / 상주 (0) | 2018.07.04 |
희양산 / 괴산 문경 (0) | 2018.07.03 |
진한 향이 풍기는 미나리의 한재골 청도 화악산 (0) | 2018.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