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ongmac(崇脈)의 세상엿보기
SMALL

분류 전체보기 4945

양구 봉화산 / 을사년 해맞이

2024년 1월 1일영종도 갑진년 해넘이 즐기고 을사년이 서러울까 싶어 해맞이 하러 떠난다.그런데 하필,골라도 너무 잘 골랐다 ㅋㅎㅎㅎ영하7도 눈보라치는 산정에서 벌벌 떨며 기다렸지만끝내 만남을 거부하더니,하산길에 빼꼼 빼꼼 구름사이로 숨바꼭질 하자고 그런다 !을사년 첫 태양을 그렇게 만났다.항상 그렇지만산아래 내려오니 해맑음 !!​Bgm : 라이온킹 'The Lion sleeps tonight'

인증사진 13 (2025년)

한남금북정맥 보덕산 (큰산 510m) / 음성2025년 4월 6일을사년 제 27 차 산행    한남금북정맥 부용지맥분기점 (해발 478m) / 음성2025년 4월 6일    한남금북정맥 보현산 (해발 476m) / 음성2025년 4월 6일    한남금북정맥 소속리산 (해발 431.8m) / 음성2025년 4월 6일     가칠봉 을지전망대 (해발 1049m) / 양구2025년 4월 2일     한남금북정맥 망이산 (해발 472m) / 음성2025년 3월 30일을사년 제 27 차 산행     용마산 (해발348m) 3rd / 서울 중랑구2025년 3월 28일을사년 제 26 차 산행    아차산 (해발 295.7m) 3rd / 구리시2025년 3월 28일     사명산 (해발 1198m) 2nd / 양구20..

백두대간 짬짬이 걷기 / 수정봉

2024년 12월 7일수정봉     노치마을로 들어서기 전 바라본 노치마을과 덕운봉(왼쪽) 수정봉(오른쪽)왼쪽으로 백두대간 길가의 빨간색 교회건물과 그 옆 노치보건소 건물이 보인다.    노치마을회관노치샘 이정표노치샘소나무민박 입구노치마을회관 앞에 주차장에 주차한 후노치샘 이정표와 노치샘을 지나, 소나무민박 오른쪽 대나무 숲까지 진행    대숲 사이 덱계단 통과    수령 250년 이상  4형제 보호수 소나무    당산제단묘지처럼 만들어진 곳에  '天龍后土之神位' 섬뜩했다.  모양을 꼭 묘지처럼 만들어야 했을까? 뒤에 보이는 낮은 목책 뒤로 등로가 있다.    등로 옆 백두대간 보호지역 노치마을 안내판 노치마을은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덕치리에 속하는 마을로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회덕리와 노치리를 병합하면..

백두대간 짬짬이 걷기 / 고남산

2024년 12월 5일고남산을 향해 가며 바라본 정상은 구름으로 덮혀 있다.    임도를 따라 올라가며 만나는 통안재 이정표(걷기 아님. 날로 먹기임)고남산 1km 이정표.    임도는 앞에 보이는  송신탑 왼쪽까지 이어지고,이곳에 적당히 주차할 공간이 있다.중앙 임도 왼쪽 하얗게 보이는 곳이 들머리    남원시 백두대간 등산 안내도와 이정표    통안재 0.8km멀어도 너무 먼 고남산 0.3km이정표    낡은 계단을 올라 시멘트 보호벽 안쪽으로 걷는다.    눈쌓인 임도가 내려다 보인다.임도가 가파르지 않아 차량이 올라올 수 있었다.    꼬불꼬불 ~아름다운 모습이지만,걷기에는 상당히 불편한 계단을 오른다.    묵은 헬리포트로 올라선다.    송신소 안쪽의 철골 시설물.공사장 시설물에 익숙한 내가 ..

여원재

2024년 12월 5일여원재휴게소    해발 470m 여원재  수정봉방향운성대장군(雲城大將軍) 장승24번 국도 이순신장군백의종군로빗물이 이 고개 왼쪽(서쪽) 이백면 방향으로 흐르면 섬진강으로 흘러들고,오른쪽(동쪽) 운봉읍 방향으로 흐르면 낙동강으로 흘러든다.삼국시대에는 이백면 방향은 백제, 운봉읍 방향은 신라땅이었다.    여원재 (女院峙)  방아치~고남산 방향고려 우왕 6년 (1390) 이성계가 황산전투에 임할 때 어느 노파가 꿈에 나타나고남산 산신단에 올라 3일간 기도하고 출전하라고 알려 주어대승을 거둘 수 있었다 한다.이성계는 꿈 속의 노파가 고갯마루에 주막을 운영하다가 왜구의 괴롭힘으로 자결한주모였다고 믿고, 노파를 위로하기 위하여 사당을 짓고 여원(女院)이라 불렀는데그때부터 이 고래 이름이 여원..

사치재

2021년 10월 23일​​​​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아영면 아곡리 산 95-3(산아래 마을은 장수군 번암면 유정리)​​​​​​사치재 표지목새목이재~시리봉~복성이재 방향​​​​픽스로프구간과 계단이 넝쿨과 잡초들로 덮혀 있다.​​​​사치재 (해발 498m) 사치재는 모래언덕 고개라는 뜻으로 아실재라고도 불리며,사치재 아래는 논과 밭이 있는 전형적인 농촌마을이다.풍수설에 의하면 기러기가 모래밭에 앉은 비안낙사(飛雁落沙) 형국이라고 한다.​사치재는 여원치를 거쳐 고남산~통안재~유치재~사치재~새목이재~복성이재~봉화산으로이어지는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사치재에서 봉화산에 이르는 구간은 등산로 곳곳에 철쭉이 소규모 군락을 이룬다.​​​​​사치재 아래 대구광주 고속도로가 흐르고,차량이 아래 보이는 철망 옆(대구방향)에서..